비젼: NO.1 Health & Beauty care Platform
II. 사업의 내용 (2020.9 분기보고서 발췌)
가. 사업부문별 현황
[헬스케어 미디어]
1) 산업의 특성
플랫폼 비즈니스란 사업자가 직접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제품이나서비스를 제공하는 생산자 그룹과 사용자 그룹이 플랫폼 내에서 활발하게 거래하도록 함으로써 가치를 생성하고 궁극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모델을 뜻합니다.
플랫폼 비즈니스의 특징은 생산자와 소비자가 다양하게 연결되는 양방향구조에 있으며, 생산자와 사용자는 매우 랜덤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를 양면시장(TwoSided Market)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양면시장이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가 필수적입니다. 네트워크 효과란 상대 집단의 크기가 클수록 보다 높은 이익이나 효용을 얻는 효과를 말합니다. 사용자 수가 높고 충성도가 높은 이용자가 많다면 네트워크 효과는 더욱 커질 수 있으며, 이용자 측면을 확보할 수 있다면 공급자 집단은 비교적 쉽게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플랫폼 비즈니스 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평균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고령자의 인구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2007년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습니다. 이제 단순히 오래 사는 것만 아니라 건강하게 오래 사는 삶을 중요시하게 되면서 과거 헬스케어가 공중보건과 질병의 진단 및 치료라는 개념으로만 머물렀다면, 이제는 웰에이징, 웰니스, 항노화 (Well-Aging, Wellness,Anti-Aging)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일상생활에서의 건강관리로 헬스케어 산업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정보통신기술 (ICT)이 융합되면서, 디지털 헬스케어는 새로운 부가가치와 서비스 영역을 창출할 것이라는 기대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의 보급 확대로 과거 PC를 통해 이루어지던 서비스들을 이동 중에도 이용할수 있게 되었고, 근거리무선통신(NFC)등 무선 통신 기술이 발달함과 함께 다양한 플랫폼 비즈니스가 출현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시장은 전자상거래뿐만 아니라 배달,택시, 숙박, 음식점업, 부동산 등 서비스용역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고 향후 교육, 의료서비스 등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당사의 미디어플랫폼 사업부는 주로 비급여 병ㆍ의원과 그곳을 이용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경기침체로 인한 가구 소득 및 자산 감소는 개인의 의료 이용 및 의료비 지출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경기불황으로 인한 노동시장 불안정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질병발생률을 높이고 이로 인해 의료시설의 이용 및 의료비 지출이 증가될 수 있습니다.
다만 최근 치료이외의 목적으로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일부 과목에 대한 의료소비는 증가하고 있으며, 의료기관들의 서비스 경쟁도 매우 치열해 지고있습니다. 또한 이미지 및 동영상 중심의 소셜 미디어의 등장으로 외모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확대되면서 미용 관련 의료 서비스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전세계 미용성형시장 규모]
캡처 |
(출처 : ISAPS, 한화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계절성)
미용을 목적으로 병원을 방문하는 경우 겨울철(겨울 방학기간, 졸업시즌)을 성수기로 볼 수 있으며, 명절 전후, 샌드위치 휴일 등의 부분적인 성수기가 존재합니다. 병ㆍ의원 대상의 마케팅과 컨설팅을 주요 타켓으로 하는 헬스케어 디지털마케팅 사업부의 월별 매출액 추이를 보면 4분기와 1분기에 성수기 효과를 누리는 계절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경쟁상황)
모바일 환경에서의 경쟁은 단순 단말 위주의 경쟁에서 플랫폼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위주의 경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기업은 초기 투자비용에서 비교적 부담이 없는 편으로, 개발을 하기 위해 특별한 설비를 구입할 필요가 없고 제품 개발에 있어서 원가가 따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처럼 거대화하거나, 카카오톡처럼 주변 사람들이 모두 사용하는 서비스가 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른 산업에 비해 브랜드 충성도가 그렇게 강하지 않습니다. 전환비용이 낮기 때문에 사람들은 지금 이용하고 있는 것보다 더 좋은 서비스가 나올 경우 옮겨갈 수 있기에 진입장벽이 높지는 않은 편입니다.
진입장벽이 낮기에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기회가 많고, 경쟁자가 엄청난 속도로 늘어날 수도 있지만 그만큼 도태되고 사라지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과거와 달리 기술 기반의 서비스 보다는 아이디어 중심의 서비스가 더욱 많아지고 있고, 아이디어와기획 그리고 비즈니스 모델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운영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인 '굿닥'과 '바비톡'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쟁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바일 광고 매체의 측면에서는 게임앱, 메신저 앱 등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과 경쟁관계에 있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비교우위)
당사가 운영하고 있는 매체의 경우 선점 효과와 5년간의 시장 경험을 바탕으로 병원 업계를 철저히 파악하고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노하우를 많이 축적하였습니다. 고객이 효율을 느낄 수 있도록 상품을 운영함으로서 경쟁사 대비 높은 만족도를 주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정보통신망법, 개인정보보호법, 의료법 등 사업영위를 위해 반드시 준수해야할 관련 법적요건을 구현하며 준법리스크에 잘 대응하고 있으며, 해킹공격, 어뷰징 등을 차단하기 위한 보안 강화를 하는 등 기술적인 면에서도 상당히 우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굿닥'과 '바비톡' 모두 유사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가장 많은 다운로드 수와 방문자 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비즈니스의 중심이 PC에서 모바일로 옮겨가면서 1등 사업자의 독점적 영향력은 더욱 강해졌습니다. 메신저, SNS와 같은 모바일 기반의 플랫폼은 이용자가 많아질수록 네트워크 효과가 발생하여 이용자가 누릴 수 있는 효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바일 환경에서는 동일서비스에서 2등 앱을 사용할 유인이 사라질 수 있습니다.
[헬스케어 솔루션]
1) 산업의 특성
헬스케어 산업은 보건산업의 영역 중 의료서비스, 의료기기, 의약품 제조업을 포함하는 사업으로 정의되며, 최근 노령인구의 급증, 정부정책, 기술발전 등의 요인을 바탕으로 산업자체의 외형이 크게 확장되는 추세에 있습니다. 21세기 의료 소비자들은 단순히 오래 사는 것(기대수명)이 아니라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건강수명)을 추구하고있습니다. 이에 치료에서 일상관리로 헬스케어의 개념이 변하고 병원 치료 중심에서 예방 및 건강관리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표준 처방에서 개인맞춤치료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또한 비 진료영역에서도 의료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헬스케어 비즈니스 모델이 출현하고, 의료기술과 IT기술의 용합으로 U-헬스와 같은 일상관리 중심의 산업이 등장하기도 하였습니다.
[헬스케어 패러다임의 시대 구분]
구분 | 공중보건시대 | 질병치료시대 | 건강수명시대 |
시대 | 18~20c초 | 20C초~말 | 21C 이후 |
기술 | 인두접종 개발 | 페니실린 발견 | 인간 지놈 프로젝트 |
목적 | 전염병 예방과 확산 방지 | 질병의 치료 및 치유 | 질병예방 및 관리로 건강한 삶 영의 |
지표 | 전염병 사망률 | 기대수명, 질병 사망률 | 건강수명, 의료비 절감 |
공급 | 국가 | 제약, 의료기기회사, 병원 | 기존공급자, IT, 전자, 건설, 자동차 회사 등 |
수요 | 전 국민 | 환자 | 환자 + 일반인 |
산업변화 | -예방접종, 상하수도 보급 -청진기, 엑스레이 발명 -의사 양성체제 확립 |
-제약, 기기, 병원산업화 -신약 및 치료법 개발 |
-유전자 조기 진단 -맞춤 치료제 등장 -U헬스케어 보급 |
(출처 : Seri Report)
2) 산업의 성장성
헬스케어 관련 산업은 고령화에 따른 의료비 증가, 치료에서 예방 중심으로의 의료서비스 변화, 삶의 질에 대한 관심 증가 등으로 글로벌 핵심 비즈니스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의료와 ICT의 융합인 스마트 헬스케어뿐만 아니라 개인 의료정보 관리 등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가 등장하며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1)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성장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는 인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IT기기를 말합니다. 항상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생체 정보를 감지하고 수치화하는데 최적화된 진단기기이며, 스마트헬스케어 산업 성장과 함께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도 주목 받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현재 시계, 손목밴드, 의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2) 휴대용 진단기기 수요 증가
당뇨, 고혈압 등 10대 만성질환 관련 부담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휴대용 진단기기의 수요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령화로 인해 만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부담은 계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예방 및 관리하는 차원에서 휴대용 진단기기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3) 스마트 병원 - 의료기기의 디지털화
병원에 스마트 의료 시스템 도입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스마트 의료 시스템 구축으로 환자들의 의료정보, 처방내용, 검사결과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진료 및 검사의 중복을 막을 수 있으며, 디지털 수술기기의 도입으로 수술의 오차범위를 줄일 수도 있습니다. 국내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스마트 의료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으며, 중소형 병원으로도 확산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4)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과 의료 서비스가 융합된 산업으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개인 건강정보, 유전체 정보 전자의무기록 등의 데이터들이 방대해짐에 따라 헬스케어 서비스가 빅데이터 기술, 인공지능 기술 등과 결합하여 정밀의료 개인 맞춤형 서비스와 같이 개별적으로활용이 가능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재탄생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은 글로벌 제약사 또는 글로벌 IT기업 등의 다양한 업체들이 시장 성장 잠재력에 대한 큰 기대를 가지고 참여하고 있습니다.
(단위: 조 원,) |
구분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CAGR |
국내시장 | 6.49 | 8.39 | 10.84 | 14.02 | 18.13 | 23.44 | 30.30 | 29.3% |
(출처 : 중소기업청, 2019 중소기업기술로드맵_빅데이터)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당사의 사업 부문은 직접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의료 서비스가 필요한 잠재 고객에게 유용한 정보와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병ㆍ의원에 효과적인 퍼포먼스 마케팅을 대행하는 등 기존에 없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함으로써 성장국면에 자리하고 있으며, 매출의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경쟁상황)
병의원 시장은 다른 산업과는 달리 의사만이 병원을 운영할 수 있다는 산업의 특수성때문에 그만큼 경쟁이 치열하지 않았고 공급에 비해 수요가 많았기 때문에 과거에는 별도의 마케팅이나 고객관리 없이도 운영이 가능하였지만, 현재는 병원에 방문한 고객을 만족시키고 고객이 다른 고객을 소개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만들어내지 못하면 살아남을 수 없는 시장 환경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병원 운영에 관한 컨설팅 및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으며 그에 맞춰 경쟁도 심화되고 있습니다.
(비교우위)
병원은 아주 특수한 조직임에 따라 일반적인 산업과는 구조가 많이 다릅니다. 그렇기에 병원 내부의 프로세스를 온전히 이해하여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가 설계되어야 그 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병원에 대한 정확한 이해도 없이 개발된 CRM 소프트웨어도 많은 반면, 당사는 긴 업력을 바탕으로 비급여 병ㆍ의원 시장에 대한 많은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병원 내부 실무자들과 함께 CRM 관련 기획을 진행해 왔으며 병원의 시스템을 파악하기 위해 병원을 공동으로 운영한 경험 등을 토대로 사용 목적, 유저 인터페이스, 보안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데이터 로딩 속도, 커스터마이징 수준의 환경설정, 서버가 해킹되어도 알아볼 수 없는 환자 정보 암호화, 컨설팅 수준의 CRM 사용자 교육 및 AS가 사용자가 만족해 하는 당사의 강점입니다. 이외에도 월 평균 2~3회 기능 개선을 위한 업데이트를 진행하며 지속적으로 개선시키고 있습니다.
[디지털마케팅]
1) 산업의 특성
인터넷과 기술의 발달로 인해 광고시장의 무게중심이 기존 4대 매체(지상파, 라디오,신문, 잡지)에서 온라인과 뉴미디어 방송매체(케이블TV, 위성TV 등) 빠르게 이동 중에 있습니다. 과거에는 4대 매체의 광고를 일방적으로 수용하였었지만, 인터넷과 모바일을 활용한 통합 미디어로 이용형태가 변화되면서 공유, 공감, 확인, 참가 등 소비자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구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광고시장의 변화]
20. 광고시장의변화 |
2) 산업의 성장성
인터넷 보급과 모바일 기기의 확산으로 급격하게 성장 중인 '온라인광고'는 광고주의제품(서비스)이 필요한 고객을 정확히 찾아내어 타게팅 할 수 있고, 모든 행동이 수치(Digit)로 확인되는 디지털의 특성이 있기 때문에 실시간 성과를 측정하여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화(optimization)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온라인광고의 이러한 특징으로 광고주는 광고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졌고, 이용자는 불필요한 광고가 아니라 본인에게 필요한 제품이나 서비스와 관련된 광고만 보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미디어는 이용자의 만족도가 높아지고 모든 지면을 판매하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광고주, 이용자, 미디어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시장이 생겨났습니다.
2000년대 들어 급속도로 인터넷 보급이 확산되면서 이용자 수가 동반 증가함에 따라 국내 대형 포털 업체(네이버, 카카오, 구글 등)의 검색 광고시장이 자리매김 할 수 있었으며, 디스플레이광고시장 또한 동반 성장하면서 온라인광고 전체 시장의 규모 또한 급속도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010년 초부터 국내 스마트폰의 본격적인 보급이 시작되면서 광고시장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한 새로운 성장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으며, 특히 최근 들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SNS 이용율의 증가와 함께 모바일 웹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통한 동영상 시청률의 상승으로 전통 미디어 중 가장 파급력이 크다고 하는 TV를 대체할만한 미디어로 그 영향력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단위: 백만원, %) |
구분 | 매출액 | 구성비 | ||||
2018년 | 2019년(E) | 2020년(E) | 2018년 | 2019년(E) | 2020년(E) | |
인터넷 | 2,055,449 | 1,961,360 | 1,910,922 | 36.0 | 30.0 | 25.9 |
모바일 | 3,661,755 | 4,567,759 | 5,478,059 | 64.0 | 70.0 | 74.1 |
총계 | 5,717,205 | 6,529,120 | 7,388,981 | 100.0 | 100.0 | 100.0 |
(출처 :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2019 방송통신광고비 조사)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일반적으로 광고 시장은 경기 변동에 따른 영향이 높은 편입니다. 다만 직접적인 매출 증대를 목표로 하는 퍼포먼스 마케팅을 진행하는 경우는 경기가 불황일 때에도 예산을 유지하거나 오히려 늘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기본적으로 고객과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매출에 즉각적인 효과를 낼 수 있고, 광고의 효과 역시실시간 데이터로 검증된다는 강점이 있기 때문에 집행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광고주들의 선택이 많기 때문입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경쟁상황)
문화체육관광부의 조사에 따르면 국내의 온라인광고대행업을 영위하는 사업체수는 약 494개이며 연간 평균 광고 취급액은 34억52백만원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온라인광고대행업은 업종의 특성상 대규모의 초기 투자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사업체 설립의 진입장벽이 높은 편이 아니며, 광고주 영업만 대행하거나 타 광고 대행사의 재대행을 통해서 미디어사에서 제공하는 커미션(Commission)을 상호 분배할 수도 있는 시장의 특성 때문에 군소 사업체가 난립 중인 상황입니다. 온라인광고대행업을 영위하는 사업체는 수백 개에 달하지만, 매출액이 100억원 이상이거나 연간 광고 취급고가 1,000억원 이상인 사업체는 소수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단위: 개, 억원) |
업무 | 사업체수 | 취급액 | 평균취급액 |
온라인종합광고대행 | 707 | 22,205 | 31.4 |
온라인광고제작대행 | 286 | 3,292 | 11.5 |
온라인광고매체대행 | 91 | 1,838 | 20.2 |
소계 | 963 | 27,335 | 28.4 |
(출처: 문화체육관광부 2018년 광고산업통계조사)
주) 주력업종 외 다른 업종에서도 취급액을 발생시키는 회사들이 존재하여 사업체 수는 중복으로 처리함에 따라, 사업체수는 각 주력업종별 사업체 수보다 클 수 있습니다.
(비교우위)
과거에는 광고주 → 대행사 → 매체로 이어지는 3단계의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취하고 있었지만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면서 광고기획자들의 역할이 일부 축소 또는 자동화 되기도 하며, 매체들은 광고주가 직접 광고 운영을 할 수 있는 솔루션들을 강화하려는 움직임도 일어나고 있습니다. 다만 매체가 다변화되고 광고 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높은 광고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광고 전체 과정을 다루고 통합하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며, 이는 광고시장 밸류체인의 한 단계에 자리한 업체가 아닌 광고 대행사만이 구사할 수 있는 고유한 영역입니다. 또한 각종 매체와 오프라인의 전 영역을 모두 포괄하여 소통할 수 있는 작업도 대행사만이 가능하기에 광고시장의 패러다임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역할 축소에 대한 우려는 그리 크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당사는 모바일 내에서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페이스북에 광고 자동화 플랫폼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운영함으로써 추가인력 없이도 광고를 대량으로 운영하고, 효율과 수익률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기업 부설 디자인연구소를 운영하여 모든 마케팅에 필요한 디자인을 직접 수행하며 캐릭터, 웹툰 영역의 디자인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체 서버나 어드민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고객들을 위하여 광고 서버, 어드민 시스템 등을 제공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랜딩페이지 기획/작업, 연동, 데이터 이관, 효율 분석 시스템을 모두 제공하여 별도의 외주 작업이나 개발업체 없이 모든 마케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광고주의 성과 달성을 위하여 모든 온라인 매체를 활용하여 광고를 운영하기 때문에 광고주의 영업뿐만 아니라 매체사의 제휴도 꾸준히 확장하고 있습니다. 포털사이트인 네이버, 카카오(다음) 등을 비록하여 SNS, 어플, 네트워크, 카페 커뮤니티 등 모든 온라인 매체와의 제휴를 통하여 광고 지면을 확보하고 운영하며 당사와 광고주, 매체 모두 광고 효율을 분석하여 공유하는 등 광고주/매체사/당사 모두 win-win 할 수 있는 구조를 정착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2. 주요 제품, 서비스 등
가. 주요 서비스
[헬스케어 미디어]
(1) 굿닥
모바일 의료 정보 서비스로써, 국내 의료시장의 의료 정보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도록 누구에게나 쉽고 편리한 의료서비스를 만들겠다는 목표로 개발되었습니다. 최초 의사정보 검색 및 상담서비스를 거쳐 현재는 위치기반 병원 검색 서비스를 중심으로 사용자에게 보다 다채로운 의료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전국 약 70,000여개의 병원, 23,000여개의 약국이 등록되어 있으며 병원/약국 검색 이외에도 테마별/증상별 병원찾기, 이벤트 모아보기, 굿닥캐스트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이용 할 수 있습니다.
(2) 바비톡
뷰티케어 관련 정보 커뮤니티로 20~30대의 여성들이 성형 및 미용과 관련된 후기들을 공유하고 병원에 대한 정보와 비용 등의 상세 정보를 확인 하는 등 활발한 정보공유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투명하고 신뢰할 만한 정보 제공을 위해 '클린 리뷰 캠페인', 광고성 후기 자체 필터링' 등 자제적으로 관리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보다 안전한 성형문화 조성을 위해 업계 최초로 '바른성형 캠페인'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바른성형 캠페인을 통해 최근 성형의료 업계에서 이슈화 되고 있는 쉐도우 닥터에 의한 대리수술 문제, 수술실 위생 및 안전문제 등 환자의 안전과 직결된 이슈를 해결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3) 메디잡
의료분야 전문 온라인 리크루팅 플랫폼 입니다. 사용자인 병의원들이 채용 공고를 게재하면 피용자인 간호사 등 의료인들과 간호조무사, 원무과 등 기타 인력들이 공고를보고 원하는 병의원에 입사 지원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구직자들은 채용 정보를 직종별, 지역별, 업무별 등 다양하게 선택하여 조회할 수 있으며, 병의원들은 플랫폼에 업로드 되어있는 구직자들의 프로필을 보고 선별하여 입사를 제안할 수 있습니다.
[헬스케어 솔루션]
(1) CRM 소프트웨어
'스마트 CRM', 'Jarvis CRM'은 병ㆍ의원에서 사용하는 고객관리 소프트웨어입니다. 병의원이 점차 증가하면서 병원간 경쟁이 심화되고 운영의 효율성이 중요시 되고 있습니다. CRM을 통해 고객에 대한 체계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를 통해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고객 특성에 맞는 마케팅 계획도 수립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700여개의 비급여 병의원에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고객의 니즈에 맞춰서 정기적인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 처방전보안시스템 등
기존 병ㆍ의원에서 발행하는 종이처방전의 경우 위변조 과정을 거쳐 불법조제로 이어지는 등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의 성명, 주소 등이 표기되어 있어 개인 신상정보 노출의 우려가 있고, 약국에서는 건강보험공단에 환자의 약제비를 신청하기 위해 종이처방전의 자료를 일일이 입력해야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편함을 보완하기 위하여 암호화 처리한 바코드처방전을 발급하고 이를 바코드스캐너로 스캔하였을때 약국 청구 소프트웨어에 자동으로 입력 될 수 있도록 연동시켜 고객 대기시간을 감소시키는 등 업무 효율화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고객 입장에서도 스마트폰 등을 통해 바코드를 스캔하여 처방전에 대한 이력관리 등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약국경영솔루션을 통해 처방전 입력, 조제, 재고관리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약국에서의 업무를 정확하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마케팅]
디지털마케팅 사업부는 메시지의 제작과 매체의 선정을 통한 메시지 전달의 두가지 역할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메시지의 제작에는 기획 및 크리에이티브 서비스가 포함되고 이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 리서치 활동이 수반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제작된 메시지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서는 매체의 선정이 잘 이루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매체 선정을 위해 목표 타겟의 매체 접촉 습관 및 빈도, 광고되는 제품의 성격, 이용 가능한 매체의 상대적 비용 등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광고주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진행과정을 보면 광고주의 목표에 맞춰 전략을 수립하고 운영계획을 세운 뒤 그에 따라 다양한 매체에 노출하고 피드백 과정을 거치고 있습니다. 검색광고, 디스플레이광고, 바이럴 마케팅 등을 혼합하여 가장 효율적인 운영을 추구하며, 고객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소재를 활용하고 참여를 이끌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 페이지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소셜 네트워크]
당사는 2018년 7월, 모바일 소셜 데이팅 어플리케이션 제작 및 퍼블리싱 기업인 주식회사 비앤케이랩을 인수하여 소셜 데이팅 어플리케이션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현재 당연시, 프랜미, 사랑애를 포함 총 4개의 소셜 데이팅 앱을 제작 및 운영하고 있으며,다양한 수요층을 공략하는 멀티 브랜드 런칭 전략으로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주요 소셜 데이팅 서비스]
서비스명 | 설명 |
| 1) 매일 새롭게 16명씩 이성을 소개하며, 이상형 월드컵 형식으로 16강부터 결승까지 선택해 연결되는 방식 2) 게임과 결합한 방식으로 젊은 층의 취향을 공략하며, 특히 20대 대학생들 사이에서 인기 3) 2017년 국내 Google Play + App Store 소비자 지출 합산 상위 앱 10위 랭크 |
당연시 | |
| |
| 1) 취미가 같은 동네 친구 찾기에 최적화 된 서비스 2) 위치기반 서비스를 기반으로 유저를 매칭 3) Blind Talk을 통해 1분간 무료 대화 가능 |
프랜미 | |
| |
| 1) 빠른 매칭 시간으로 남녀를 불문하고 큰 호응을 얻고 있는 데이팅 앱 2) 마음에 드는 상대방을 고르고 상대방이 나를 고르면 바로 대화방이 열리는 방식이 특징 3) 2018년 2월, 리뉴얼 업데이트 이후 트래픽과 결제액이 급증 |
사랑애 | |
|
나. 주요 서비스별 매출 현황
(기준일 : 2020년 9월 30일) | (단위 : 천원,%) |
사업부문 | 주요 내용 | 매출액 | 비율 |
헬스케어 미디어 | 병원약국 검색 서비스, 뷰티케어 관련 커뮤니티 앱, 의료인 전문 리크루팅 플랫폼 | 20,029,514 | 35.58 |
헬스케어 솔루션 | CRM 소프트웨어, 처방전보안시스템, 약국청구프로그램 | 9,699,380 | 17.23 |
디지털 마케팅 | 마케팅 기획, 제작, 대행 등 | 23,742,237 | 42.17 |
소셜 네트워크 | 모바일 소셜 데이팅 어플리케이션 제작 및 운영 | 2,646,493 | 4.70 |
기타 | 부동산 임대 | 178,654 | 0.32 |
총합계 | 56,296,278 | 100.00 |
주)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3. 매출에 관한 사항
가. 매출실적
(단위: 천원) |
매출 유형 |
폼목 | 2020년 (제9기 3분기) |
2019년 (제8기) |
2018년 (제7기) |
|
서비스 | 헬스케어 미디어 | 수출 | - | - | - |
내수 | 20,029,514 | 22,311,835 | 18,705,274 | ||
소계 | 20,029,514 | 22,311,835 | 18,705,274 | ||
헬스케어 솔루션 | 수출 | - | - | - | |
내수 | 9,699,380 | 10,063,584 | 9,775,543 | ||
소계 | 9,699,380 | 10,063,584 | 9,775,543 | ||
디지털마케팅 | 수출 | - | - | - | |
내수 | 23,742,237 | 28,066,833 | 20,275,608 | ||
소계 | 23,742,237 | 28,066,833 | 20,275,608 | ||
소셜 네트워크 | 수출 | - | - | - | |
내수 | 2,646,493 | 7,648,484 | 5,415,908 | ||
소계 | 2,646,493 | 7,648,484 | 5,415,908 | ||
기타 | 부동산 임대료 등 | 수출 | - | - | - |
내수 | 178,654 | 208,784 | 206,940 | ||
소계 | 178,654 | 208,784 | 206,940 | ||
합계 | 수출 | - | - | - | |
내수 | 56,296,278 | 68,299,520 | 54,379,273 | ||
소계 | 56,296,278 | 68,299,520 | 54,379,273 |
주)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나. 판매경로 등
1) 판매조직
구분 | 주요업무 | |
헬스케어 미디어 | 영업팁 | 기존 고객 관리, 신규 계약건 처리, 신사업 협조 등 |
헬스케어 솔루션 | 영업팀 | 기존 고객 관리, 신규 고객 창출 |
디지털 마케팅 | 영업팀 | 광고주 관리 및 영업, 광고 기획 |
소셜 네트워크 | 영업팀 | 기존 고객 관리, 신규 고객 창출 |
2) 판매경로
(단위: 천원) |
매출유형 | 구 분 | 판매경로 | 판매경로별 매출액(비중) |
헬스케어 미디어 | 국내 | 당사 → 병ㆍ의원 | 20,029,514 |
헬스케어 솔루션 | 국내 | 당사 → 병ㆍ의원, 약국 | 9,699,380 |
디지털 마케팅 | 국내 | 당사 → 광고주, 매체 | 23,742,237 |
소셜 네트워크 | 국내 | 당사 → 개인 사용자 | 2,646,493 |
기타 | 국내 | 당사 → 세입자, 소비자 | 178,654 |
주) 상기 수치는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3) 판매전략
(1) 마케팅 활동
'굿닥'은 애플리케이션 중심의 병원 검색 서비스와 웹을 통한 콘텐츠, 병원 광고 마케팅 네트워크를 앞세워 기존 CPA상품과 CPV(콘텐츠) 상품 영업 확장을 가속화 시켜나갈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광고효율을 높일 수 있는 솔루션 개발과 지속적인 매체 확장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바비톡'은 리뉴얼 이후 신규 추가된 견적기능, 투표기능 등을 소개하는 마케팅 콘텐츠를 제작하여 SNS 채널에 집중 홍보하며 인플루언서들을 이용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해 나가고 있습니다. 일반인 대상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바이럴 마케팅 등을 포함하여, 매출 성장과 시장 점유율 증대에 최적의 방법을 찾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소셜 데이팅 앱 부문은 기존 앱들의 안정적인 트래픽 성장과 지속적인 신규 앱 출시로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소셜 데이팅 시장은 수요가 단일화 되어있지 않고 개인의 특성에 따라 세분화 되어있으므로, 소비자 집단마다 존재하는 수요를 공략하기 위해 다양한 앱을 출시 하는 전략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CRM 소프트웨어는 병원에서 사용하는 단순 업무도우미 역할을 넘어, 영업의 업무시스템을 정비하고 지속적으로 관리, 개선해야 제대로 효과를 볼 수 있는 제품으로 최근들어 병원을 개원하면서 당연히 CRM을 사용해야 한다는 인식이 늘고 있어 의사협회, 박람회 부스 등 다각화된 마케팅활동을 통해 영업채널을 넓히려하고 있습니다.
(2) 시너지 효과 및 신규 비즈니스
당사는 서비스의 형태는 다르지만 각 사업부의 주요 고객은 비급여 병ㆍ의원입니다. 2016년 10월 합병 및 영업양수 이전에도 서로간의 협업이 존재하였으며,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헬스케어 솔루션 사업부는 강남권 700여개의 비급여 병ㆍ의원을 클라이언트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기존 고객 대상의 cross sales를 통해 신규고객을 발굴하고 다양한 패키지 상품을 개발하여 클라이언트 효율 달성 → 예산 증액 및 마케팅 투자 → 회수 및 유저증가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CRM 소프트웨어는 하루 평균 9.2시간의 유저 체류시간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를 강점으로 하여 광고매출과 제휴영업을 통한 수수료 Share 전략 및 영업 채널 다각화 전략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새로 개발한 보험청구 S/W와 펜차트 앱을 통해 급여 병ㆍ의원시장으로의 시장을 확대시키고 타사업부와의 시스템연동으로 서비스를 보다 정교화 해나갈 계획으로 시장점유율을 더욱 확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뷰티케어 플랫폼과 소셜 데이팅 앱 부문은 20대 ~ 30대 미혼 남녀라는 공통의 유저층이 존재하므로 공동 마케팅의 효과가 극대화 되고 있으며, IT 개발자 및 기획자들간의 정보 교류로 업무 성과와 효율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4.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당사는 시장위험, 신용위험과 유동성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시장위험은 다시통화위험, 이자율위험과 가격위험 등으로 구분 됨). 당사는 이러한 위험요소들을관리하기 위하여 각각의 위험요인에 대해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대응하는 위험관리정책 및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재무위험관리의 대상이 되는 당사의 금융자산은 현금및현금성자산, 장단기금융상품, 매출채권및기타채권 등으로 구성되어있으며 금융부채는 매입채무및기타채무, 차입금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 시장위험
1) 통화 위험
당사는 글로벌 영업 및 장부통화와 다른 수입과 지출로 인해 외화 환포지션이 발생하며, 환포지션이 발생하는 주요 외화로는 USD가 있습니다. 당사는 사업의 성격 및 환율 변동위험 대처수단의 유무 등을 고려하여 회사별 헷지정책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외화로 표시된 채권과 채무 관리시스템을 통하여 환노출위험을 주기적으로 평가, 관리 및 보고하고 있습니다.
2) 이자율 위험
당사는 가격변동으로 인한 재무제표 항목(금융자산, 부채)의 가치변동 위험 및 투자, 차입에서 비롯한 이자수익(비용)의 변동위험 등의 이자율 변동위험에 노출되어있습니다. 이러한 당사의 이자율 변동위험은 채권 등 이자지급 부채의 발행, 이자수취 자산에의 투자 등에서 비롯됩니다.
3) 가격위험
당사는 지분상품에서 발생하는 가격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지분상품은 매매목적이 아닌 전략적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당사는 해당 투자자산을 활발하게 매매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나.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계약상대방이 계약상의 의무를 불이행하여 당사에 재무적 손실을 미칠 위험을 의미합니다. 당사는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재무적 손실을 경감시키는 수단으로서 신용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거래처와 거래하고, 충분한 담보를 수취하는 정책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신용위험노출 및 거래처의 신용등급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이러한 거래 총액은 승인된 거래처에 분산되어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노출된 신용 위험이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당분기말 현재 당사의 금융자산 장부가액은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노출액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다. 유동성 위험
당사는 단기 및 중장기 자금수지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에서의 자금수지를 미리 예측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필요 유동성 규모를 사전에확보하고 유지하여 향후에 발생할 수 있는 유동성위험을 사전에 관리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분기말 현재 금융상품부채의 만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
구 분 | 1 년 미만 | 1년 이상 | 합 계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3,864,660 | 72,480 | 3,937,140 |
차입금 및 사채 | 991,150 | 14,206,250 | 15,197,400 |
합 계 | 4,855,810 | 14,278,730 | 19,134,540 |
주) 상기 수치는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5.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 현황
가. 파생상품자산 및 부채
분기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풋백옵션 등
분기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6.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당사는 분기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회사의 재무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비경상적인 중요계약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7. 연구개발활동
가. 연구개발 담당조직
당사의 연구개발을 담당하는 조직은 헬스케어 미디어 사업부에 2개팀(개발팀, 디자인팀), 헬스케어 솔루션 사업부에 1개팀(개발팀), 디지털마케팅 사업부에 1개팀(디자인팀), 소셜 네트워크 사업부에 1개팀(개발팀)으로 총 5개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나. 연구개발 비용
(단위: 천원) |
구 분 | 2020년 (제9기) |
2019년 (제8기) |
2018년 (제7기) |
|
자산 처리 |
무형자산 | - | - | - |
원재료비 | - | - | - | |
인건비 | - | 204,083 | 796,546 | |
감가상각비 | - | - | - | |
위탁용역비 | - | - | - | |
기타 경비 | - | - | - | |
소 계 | - | 204,083 | 794,546 | |
비용 처리 |
제조원가 | - | - | - |
판관비 | 2,019,927 | 3,095,852 | 1,829,569 | |
소 계 | 2,019,927 | 3,095,852 | 1,829,569 | |
합 계 (매출액 대비 비율) |
2,019,927 (3.59%) |
3,299,936 (4.83%) |
2,626,115 (4.83%) |
주) 상기 수치는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다. 연구개발 실적
연구과제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상용화 | 비고 (출시년월) |
의료 커뮤니티 서비스 개발 |
- 질환 중심의 의료 커뮤니티 서비스를 개발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도입하여 빠른 확장성과 변경 가능한 환경으로 개발 - 최신 모바일앱 설계패턴을 적용하여 유지 보수에 용이 |
굿닥 | 2016.8 (2017.2 피벗런칭) |
서비스지표 시스템 개발 |
- 비즈니스 인텔리전스를 위한 매출/서비스지표 변화에 대한 관제 시스템 구축 - 서비스장애 알림/일별 매출/서비스 변화 추이를 그래프 형태로 제공함 |
O | 2016.12 |
커뮤니티 기능 활성화 |
- 자유톡, 다이어트, 뷰티 등 주제별 카테고리 추가 및 검색기능 개선 - 쪽지보내기(채팅) UI 개선 - 성형후기 '정보받기' 기능 추가 |
바비톡 앱 3.0 | 2014.01 ~ 현재 |
병원정보 메뉴 추가 |
- '병원정보' 페이지(UI) 추가 : 지역별 병원 분류, 병원명 검색 기능 : 병원별 이벤트 가격 정보 확인 기능 |
바비톡 앱 4.0 | 2015.01 ~현재 |
성능개선 및 분석기능 추가 |
- 썸네일 이미지 로드 속도 개선 - 앱 내 분석기능 추가 |
바비톡 앱 4.0 | 2015.01 ~현재 |
앱 내 준법요건 반영 |
- '이메일 주소', '닉네임', '비밀번호' 설정 등 정회원가입 절차 구현 - 서비스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동의 절차 구현 - 광고성 알림 사전 동의 절차 구현 등 |
바비톡 앱 5.0 | 2016.12 ~ 현재 |
개발환경 최적화/ 보안강화 |
- 아마존 웹 서비스 AWS(Amazon Web Services) 기반으로 서버 이전 - 개발환경 최적화를 위한 리팩토링 작업 & 최신 기술을 반영한 개발코드 업데이트 - 어뷰징 차단을 위한 보안 기술 적용 등 |
바비톡 앱 5.0 | 2016.12 ~ 현재 |
최신 트렌드반영 UX/UI 디자인 개선 |
- 최신 디자인 트렌드 반영 BI 전면 개편 (일관된 톤&매너 적용) - 선진 사례(Best Practice)를 적용한 UX/UI 디자인 개선 - 바비톡 운영진 관리자 사이트, 클라이언트 관리자 사이트 업데이트 |
바비톡 앱 5.0 | 2016.12 ~ 현재 |
신규 기능 개발 구현 |
- [앱 부문] 이용자 니즈를 반영한 (회원)견적문의/(병원)답변제공 기능 추가 - [앱 부문]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투표' 기능 추가 - [앱 부문] 바른성형 캠페인 참여병원 병원정보 별도 카테고리 구성, 인증 배지 부여 등 기능 추가 - [웹 부문] 바비톡 운영진 관리자 사이트 결산관리 기능 추가 |
바비톡 앱 5.0 | 2016.12 ~ 현재 |
청구S/W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 및 인증된 프로그램 개발 - 의원급 급여진료 보험청구 기능 개발(한의원, 치과, 입원병상 병원 불가) - 스마트CRM과 연동 기능 개발 |
스마트EDI | 2017.09 |
펜차트앱 | - 펜차트앱(아이패드용) 개발 - 전자서명법에 의한 전자서명 기능 개발 및 서버 구축 - 스마트CRM과 예약리스트 정보 연동 기능 개발 |
스마트차트 | 2017.03 |
페이스북 광고 관리시스템 개발 |
- 실시간으로 광고 데이터를 체크하며 사람이 직접 관리하지 않아도 정해진 조건내에서 광고 세팅, 수정, 종료를 수행하도록 하여 인력 공백 최소화 - 페이스북 공식 개발사 인증 획득 |
O | 2016.12 |
라. 향후 연구개발 계획
구분 | 계획 | 연구 기관 |
기대효과 | 소요자금 (백만원) |
자금조달 방법 |
굿닥 | 테스트 자동화 시스템 구축 | 굿닥 개발팀 | - 서비스의 안정성 확보 및 반복되는 테스트 비용을 감소하기 위한 테스트 자동화 시스템 구축 - 테스트 자동화 시스템 기반의 환경 구축 |
1,500 | 자체자금 |
전자처방전 체계 확립 및 확산 | 굿닥 개발팀 | - 병원에서의 전자처방전 생성 및 약국에서 전자처방전 확인 및 생성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 - 전자처방전 이용이 가능한 모바일 App 개발 |
120 | 자체자금, 협력사 자금, 정부지원금 |
|
모바일 병원 예약 | 굿닥 개발팀 | - 굿닥 App 내에 병원 예약/접수 기능 추가 | 200 | 자체자금 | |
바비톡 | CRM 및 DB 관리 프로그램 연동 | 바비톡 개발팀 | - 클라이언트 편의성 향상 및 시장 점유율 상승 | 1,000 | 자체자금 |
동남아 주요 국가 진출 | 바비톡 개발팀 + 로컬 파트너 | - 동남아 주요 국가 바비톡 서비스 런칭 : 태국을 시작으로 싱가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 시장 진출 : 국가별 언어 처리, 주요 기능 Localize 분기 개발 등 |
7,000 | 자체자금 | |
메디잡 | 웹, 모바일(iOS, Android) 전체 개편 | 메디잡 기술팀 | - 병원, 개인 사용자 의견 반영 및 이용 편리성으로 접속률과 매출 증가 | 30 | 자체자금 |
API 연동 | 메디잡 기술팀 | - 잡코리아, 워크넷, 아이원잡 제휴 공고 및 기타 연계로 취업활동 증가 | 30 | 자체자금 | |
SMS, Email 시스템 개편 | 메디잡 기술팀 | - 일반 SMS문자서비스 카카오톡 알림 서비스로 개편하여 사용자 편리성 및 SMS지출비용 감소, Email 시스템 개편으로 서비스 알림 및 프로모션 메일링 강화 |
30 | 자체자금 | |
경영관리실 | ISMS-P 인증 | 경영관리실 정보보안팀 | - ISMS-P(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을 위한 내부정보취급 체계 구축 | 700 | 자체자금 |
11. 그 밖에 투자의사결정에 필요한 사항
가. 지적재산권 현황
No | 권리 | 출원인 | 명칭한글 | 상품류 | 출원일 | 등록일 | 주무관청 |
1 | 국내상표 | 주식회사 케어랩스 | 1 |
제09류 제35류 제38류 제44류 |
2015.06.04 | 2016.04.29 | 특허청 |
2 | 국내상표 | 주식회사 케어랩스 | 2 |
제09류 제35류 제38류 제44류 |
2015.06.04 | 2016.04.29 | 특허청 |
3 | 국내상표 | 주식회사 케어랩스 | 3 |
제09류 제35류 제38류 제44류 |
2015.06.04 | 2016.04.29 | 특허청 |
4 | 국내상표 | 주식회사 케어랩스 | 4 |
제09류 제35류 제38류 제44류 |
2015.06.04 | 2016.04.29 | 특허청 |
5 | 국내상표 | 주식회사 케어랩스 | 5 |
제09류 제35류 제38류 제44류 |
2015.06.04 | 2016.04.29 | 특허청 |
6 | 국내상표 | 주식회사 케어랩스 | 6 |
제09류 제35류 제38류 제44류 |
2015.06.04 | 2016.04.29 | 특허청 |
7 | 국내상표 | 주식회사 케어랩스 | 7 |
제09류 제35류 제36류 제38류 제44류 |
2015.06.05 | 2016.06.22 | 특허청 |
8 | 국내상표 | 주식회사 케어랩스 | 8 |
제09류 제35류 제36류 제38류 제44류 |
2015.06.05 | 2016.06.22 | 특허청 |
9 | 국내상표 | 주식회사 케어랩스 | 9 |
제09류 제35류 제36류 제38류 제44류 |
2015.06.05 | 2016.06.22 | 특허청 |
10 | 국내상표 | 주식회사 케어랩스 | 10 |
제09류 제35류 제36류 제38류 제44류 |
2015.06.05 | 2016.06.22 | 특허청 |
11 | 국내상표 | 주식회사 케어랩스 | 11 |
제35류 | 2016.10.27 | 2017.07.21 | 특허청 |
12 | 국내상표 | 주식회사 케어랩스 | 11 |
제44류 | 2016.10.27 | 2017.07.21 | 특허청 |
13 | 국내상표 | 주식회사 케어랩스 | 13 |
제09류 | 2017.05.31 | 2018.04.30 | 특허청 |
14 | 국내상표 | 주식회사 케어랩스 | 13 |
제36류 | 2017.05.31 | 2018.04.30 | 특허청 |
15 | 국내상표 | 주식회사 케어랩스 | 13 |
제44류 | 2017.05.31 | 2018.04.30 | 특허청 |
16 | 국내상표 | 주식회사 케어랩스 | 13 |
제35류 | 2017.05.31 | 2018.06.15 | 특허청 |
17 | 국내상표 | 주식회사 케어랩스 | 13 |
제38류 | 2017.05.31 | 2018.06.15 | 특허청 |
18 | 국내상표 | 주식회사 케어랩스 | 18 |
제35류 | 2017.05.31 | 2018.07.03 | 특허청 |
19 | 국내상표 | 주식회사 케어랩스 | 18 |
제38류 | 2017.05.31 | 2018.07.03 | 특허청 |
주) 적용상세내용
-제9류 : 개인정보관리용 컴퓨터소프트웨어, 내려받기 가능한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 모바일용 기록된 게임소프트웨어, 스마트 TV용
소프트웨어 등
-제35류 : 광고 및 기업경영 상담업, 경영관리 및 마케팅 분야에 관한 상담업,
인터넷을 통한 광고업 및 상업정보서비스업, 사업경영/관리 및
사무처리업 등
-제36류 : 모바일 할인쿠폰발행업, 스마트폰을 이용한 상업용 전자쿠폰 발행업
-제38류 :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정보 송신업, 인터넷을 이용한 위치정보
송수신서비스업, 인공위성 및 통신기구를 이용한 사용자 위치 정보제공
서비스업, 인터넷을 통한 위치정보제공업 등
-제44류 : 의료상담업, 의료정보제공업, 의료목적의 행동분석업
회사소개_Air Products (0) | 2022.07.24 |
---|---|
회사소개_메드트로닉코리아(Medtronic Korea) (0) | 2022.07.24 |
회사소개_쥴릭파마 코리아(Zuellig Pharma Korea) (0) | 2022.07.24 |
Ultimatom (0) | 2022.03.27 |
100대 통계지표 (0) | 2022.03.14 |
댓글 영역